국도 제36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36호선은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항에서 시작하여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에서 끝나는 일반 국도이다. 1971년 대천 ~ 울진 구간으로 지정되었으며, 충주댐 건설, 도로 확장 및 개량을 통해 노선이 변경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보령시, 청양군,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증평군, 음성군, 충주시, 단양군, 영주시, 봉화군, 울진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증평군의 교통 - 증평역
증평역은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에 위치한 충북선의 철도역으로, 1923년 청안역으로 개업하여 충북증평역을 거쳐 1948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에서 무궁화호가 운행되며 청주공항역과 음성역 사이에 위치한다. - 증평군의 교통 - 증평 나들목
증평 나들목은 충청북도 청주시 오창읍에 위치한 중부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1988년 개통되었으며 지방도 제510호선과 연결되지만, 명칭 혼란으로 인해 변경 의견이 제기되고 있고,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통행량은 약 7,806대이다. - 울진군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울진군의 교통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 청양군의 교통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39호선은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경기도 의정부시를 잇는 일반국도로, 개통 및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 충청남도와 경기도의 주요 도시 및 산업단지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일부 구간은 교통 혼잡 개선이 필요하고 여러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 청양군의 교통 - 지방도 제609호선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서산시까지 이어지는 지방도 제609호선은 총연장 59.0km이며, 2003년 노선 재지정 및 구간 공사를 거쳐 현재 보령시,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서산시를 경유한다.
국도 제36호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국도 제36호선 |
대체 이름 | 국도 제36호선 |
노선 종류 | 일반 국도 |
총 연장 | 388.2 km |
개통일 | 1971년 8월 31일 |
서쪽 기점 | 보령시, 충청남도 20px 국도 제77호선 |
동쪽 종점 | 울진군, 경상북도 20px 국도 제7호선 |
주요 경유지 | 충청남도 보령시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북도 증평군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북도 제천시 충청북도 단양군 경상북도 영주시 경상북도 봉화군 경상북도 울진군 |
주요 교차 도로 |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
국도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
2. 연혁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36호선''' 대천 ~ 울진선으로 지정.[4]
- 1973년 9월 8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공주군 장기면 봉안리 365m 구간을 460m로,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 대치리 180m 구간을 222m로 도로구역 변경[5]
- 1975년 8월 8일 : 청양군 목면 안심리 ~ 청양면 읍내리 총 1.11km 구간 개통 및 기존 1.705km 구간 폐지, 공주군 우성면 동대리 125m 구간 개통 및 기존 139m 구간 폐지[6]
- 1986년 5월 13일 : 시점을 '충청남도 대천군 대천읍'에서 '충청남도 대천시'로 변경[7]
- 1986년 6월 21일 : 충주댐 건설로 인해 제원군 덕산면 신현리 ~ 수산면 수산리 7.7km 구간 이설 개통[8]
- 1986년 9월 29일 : 충주댐 건설로 인해 중원군 살미면 내사동 ~ 제원군 수산면 수산리 ~ 계란리 23.9km 구간, 단양군 단양읍 장희리 ~ 상방리 9.7km 구간 도로 수몰로 폐지[9]
- 1987년 11월 9일 : 청원군 북일면 주중리 ~ 괴산군 증평읍 증평리 총 12.02km 구간 개통, 기존 12.73km 구간 폐지[10]
- 1992년 1월 17일 : 보령군 청라면 의평리 340m 구간 개통[11]
- 1994년 8월 13일 : 증평~충주구간 4차선 확장개통[12]
- 1996년 7월 1일 : 시점을 '충청남도 대천시'에서 '충청남도 보령시'로 변경. 이에 따라 '보령 ~ 울진선'이 됨.[13]
- 1999년 1월 8일 : 청양군 화성면 장계리 ~ 구재리 2.56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2.8km 구간 폐지[14]
- 1999년 12월 9일 : 청양군 화성면 매산리 ~ 신정리 1.371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1.4km 구간 폐지[15]
- 2000년 8월 26일 : 청양군 정산면 지곡리 600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16]
- 2000년 12월 30일 : 청라우회도로(보령시 청라면 의평리 ~ 소양리) 3.27km 구간 개통[17]
- 2001년 9월 29일 : 청원군 남일면 효촌리 ~ 청주시 흥덕구 휴암동 11.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8]
- 2002년 1월 10일 : 법전 ~ 소천간 도로(봉화군 법전면 어지리 ~ 소천면 현동리) 4.7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5km 구간 폐지[19][20]
- 2004년 1월 16일 : 충주시 살미면 무릉리 220m 구간 확장 개통[21]
- 2004년 12월 1일 : 청양군 청양읍 장승리 ~ 대치면 탄정리 5.2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5km 구간 폐지[22]
- 2004년 12월 31일 : 공주시 우성면 동대리 ~ 연기군 남면 종촌리 21.3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1.44km 구간 폐지[23]
- 2005년 9월 6일 :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 ~ 청원군 북이면 옥수리 13.43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4]
- 2005년 12월 12일 : 영주 ~ 봉화간 도로(영주시 상망동 ~ 봉화군 봉성면 금봉리) 14.4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km 구간 폐지[25]
- 2005년 12월 21일 : 영주시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 (신전 ~ 가흥간 도로,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75km 구간 폐지[26]
- 2007년 12월 21일 : 봉화 ~ 법전간 도로 및 법전 ~ 소천간 도로 일부(봉화군 봉성면 금봉리 ~ 법전면 소지리) 14.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2km 구간 폐지[27][28]
- 2007년 12월 24일 : 목면우회도로(청양군 목면 대평리 ~ 송암리) 3.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청양군 목면 대평리 ~ 안심리 2.4km 구간 폐지[29]
- 2008년 4월 3일 : 율량 ~ 북이간 도로(청주시 상당구 율량동 ~ 청원군 북이면 옥수리)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에서 종점을 청원군 북이면 금암리로 변경해 1.92km 구간 단축[30]
- 2010년 5월 4일 : 영주시 가흥동 ~ 상망동 6.0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1]
- 2011년 12월 30일 : 법전 ~ 소천간 도로(봉화군 법전면 소지리 ~ 어지리 4.97km 구간과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2.4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봉화군 춘양면 소로리 ~ 법전면 소천리 2km 구간과 소천면 현동리 1.6km 구간 폐지[32][33]
- 2013년 12월 30일 : 청주 ~ 증평간 도로(청주시 상당구 율량동 ~ 청원군 북이면 옥수리) 13.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1.2km 구간 폐지[34]
- 2016년 1월 5일 : 소천 ~ 서면간 도로 3공구(울진군 금강송면 쌍전리 ~ 삼근리) 6.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45km 구간 폐지[35][36]
- 2016년 2월 5일 : 소천 ~ 서면간 도로 2공구(울진군 금강송면 광회리 ~ 쌍전리) 3.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km 구간 폐지[37][38]
- 2016년 5월 3일 : 소천 ~ 서면간 도로 개통으로 봉화군 소천면 분천리 ~ 울진군 금강송면 쌍전리 10km 구간 노선을 변경해 6.8km가 됨.[39]
- 2016년 5월 4일 : 소천 ~ 서면간 도로 1공구(봉화군 소천면 분천리 ~ 울진군 금강송면 광회리) 2.4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3.3km 구간 폐지[40][41], 소천 ~ 서면간 도로 2공구(울진군 금강송면 광회리) 3.5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7.3km 구간 폐지[42][43]
- 2016년 7월 20일 : 소천 ~ 서면간 도로 1공구(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 분천리) 5.5km 구간 신설 개통 및 기존 8km 구간 폐지[44][45]
- 2016년 8월 31일 : 청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휴암 ~ 오동간 도로(청주시 흥덕구 수의동 ~ 청원구 오동동) 개통에 따라 기존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 ~ 청원구 내수읍 국동리 15.7km 구간 폐지[46][47]
- 2016년 12월 28일 : 풍기 ~ 도계간 도로(영주시 풍기읍 백신리 ~ 수철리) 5.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km 구간 폐지[48][49]
- 2017년 1월 1일 : 청양 대치 ~ 공주 우성간 도로 1공구(청양군 대치면 탄정리 ~ 정산면 대박리) 12.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청양군 대치면 탄정리 ~ 정산면 서정리 14.9km 구간 폐지[50], 청양 대치 ~ 공주 우성간 도로 2공구(청양군 정산면 대박리 ~ 목면 대평리, 청양군 목면 송암리 ~ 공주시 우성면 단지리) 총 13.3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 목면 대평리 4.1km 구간과 공주시 우성면 방흥리 ~ 동대리 1.8km 구간 폐지[51]
- 2017년 4월 13일 : 선형개량으로 인해 충주시 살미면 내사리 총 325m 구간 폐지[52]
- 2017년 12월 1일 :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북하리) 1.5km 구간 확장 개통[53]
- 2018년 9월 21일 : 영주시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 (가흥 ~ 상망간 도로, 영주시 가흥동 ~ 상망동) 6.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시내 통과 5.7km 구간 폐지[54][55]
- 2018년 12월 31일 : 보령 ~ 청양간 도로 1공구(보령시 화산동 ~ 청라면 의평리 3.84km 구간과 보령시 청라면 소양리 ~ 청양군 화성면 장계리 3.06km 구간) 총 6.9km 구간 확장 개통[56]
- 2019년 8월 20일 : 보령 ~ 청양간 도로 1공구 확장 개통으로 인해 기존 보령시 청라면 향천리 총 1km 구간 폐지[57]
- 2019년 9월 30일 : 서면 ~ 근남간 도로 2공구(울진군 울진읍 온양리) 900m 구간 부분 확장 개통[58]
- 2019년 12월 30일 : 보령 ~ 청양간 도로 2공구(청양군 화성면 구재리 ~ 청양읍 장승리) 5.74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청양군 화성면 매산리 ~ 청양읍 장승리 총 3.79km 구간 폐지[59]
- 2020년 4월 1일 : 서면 ~ 근남간 도로 1~2공구(울진군 금강송면 삼근리 ~ 울진읍 온양리) 18.08km 구간 신설 개통[60]
- 2024년 7월 25일: 충청내륙고속화도로 1-1구간(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금암리~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개통[61]
3. 주요 경유지
'''충청남도'''
- 보령시 (신흑동, 요암동, 남곡동, 내항동, 궁촌동, 명천동, 동대동, 화산동, 청라면) - 청양군 (화성면, 청양읍, 대치면, 정산면, 목면) - 공주시 (우성면, 월미동, 의당면, 송선동, 동현동)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강내면, 석소동, 수의동, 후암동, 비하동, 강서동, 가경동, 복대동) - 서원구 (사창동, 사직동) - 상당구 (영동, 북문로2가, 수동) - 청원구 (우암동, 내덕동, 율량동, 주중동, 주성동, 내수읍, 북이면)) - 증평군 (증평읍, 도안면) - 음성군 (원남면, 음성읍, 소이면) - 충주시 (주덕읍, 대소원면, 용두동, 용관동, 가주동, 풍동, 살미면) - 제천시 (한수면, 덕산면, 수산면) - 단양군 (단성면, 대강면)
'''경상북도'''
- 영주시 (풍기읍, 봉현면, 안정면, 상줄동, 장수면, 가흥동, 창진동, 고현동, 상망동) - 봉화군 봉화읍 - 영주시 이산면 - 봉화군 (봉화읍, 봉성면, 법전면, 춘양면, 소천면) - 울진군 (금강송면, 울진읍, 근남면)
3. 1. 충청남도
이름[2] | 한글 이름 | 연결 노선 | 위치 | 비고 | |
---|---|---|---|---|---|
대천항 | 대천항 | 보령시 | 대천동 | 종점, 국도 제77호선 중복 구간 | |
대천서중학교 (대천해수욕장시외버스정류장) | 대천서중학교 (대천해수욕장시외버스정류장) | 국도 제77호선 중복 구간 | |||
흑포삼거리 | 흑포삼거리 | 지방도 제607호선 (대해로) | |||
청룡초등학교 | 청룡초등학교 | ||||
해망산삼거리 | 해망산삼거리 | 해망산길 | |||
요암삼거리 | 요암삼거리 | 뒷골길 | |||
대천 나들목 | 대천 나들목 | 서해안고속도로 | |||
남곡사거리 | 남곡사거리 | 황골길 | |||
대천역 (대천역사거리) | 대천역 (대천역사거리) | ||||
보령종합버스터미널 (터미널사거리) | 보령종합버스터미널 (터미널사거리) | 남대천로, 명해로 | |||
궁촌사거리 | 궁촌사거리 | 현충탑길 | |||
수청사거리 | 수청사거리 | 보령남로, 중앙로 | |||
주공사거리 | 주공사거리 | 주공로 | |||
동대사거리 | 동대사거리 | 보령북로, 한내로 | |||
신설사거리 | 신설사거리 | 동현로, 신평로 | |||
화산교차로 | 화산교차로 |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77호선 (충서로) | |||
화산사거리 | 화산사거리 | 옹마로 | |||
고인돌삼거리 | 고인돌삼거리 | 대천로 | |||
향천교차로 | 향천교차로 | 청성로 | 청라면 | ||
의평삼거리 | 의평삼거리 | 냉풍욕장길 | |||
의평교차로 | 의평교차로 | 원모루길 | |||
청라교차로 | 청라교차로 | 지방도 제609호선 (당안길) | |||
소양삼거리 | 소양삼거리 | 원모루길 | |||
국원교차로 | 국원교차로 | 무할로 | 청양군 | 화성면 | |
구제삼거리 | 구제삼거리 | 구수골길 | |||
여주재 | 여주재 | 청양읍 | |||
(이름 없음) | 굳을재길 | ||||
장승교차로 | 장승교차로 | 칠갑산로 | |||
송방교차로 | 송방교차로 | 구봉로 | |||
벽천교차로 | 벽천교차로 | 국도 제29호선 (충절로), 문화예술로 | |||
탄정삼거리 | 탄정삼거리 | 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칠갑산로) | 대치면 | 지방도 제645호선 중복 구간 | |
탄정교교차로 | 탄정교교차로 | 주전로 | |||
수정초등학교 대치면사무소 | 수정초등학교 대치면사무소 | ||||
주정삼거리 | 주정삼거리 | 지방도 제645호선 (꽃내로) | |||
칠갑대교 | 칠갑대교 | ||||
대치터널 | 대치터널 | 약 425m | |||
천장삼거리 | 천장삼거리 | 신덕길 | 정산면 | ||
정산면사무소 정산고등학교 정산시외버스터미널 | 정산면사무소 정산고등학교 정산시외버스터미널 | ||||
서정리사거리 | 서정리사거리 | 국도 제39호선 (충의로) | |||
지곡사거리 | 지곡사거리 | 큰백길 | 목면 | ||
문성초등학교 (폐교) | 문성초등학교 (폐교) | ||||
안심교차로 | 안심교차로 | 안심동길 | |||
목면교차로 | 목면교차로 | 무술길 | |||
송암사거리 | 송암사거리 | ||||
공수원사거리 | 공수원사거리 | 지방도 제96호선 (용봉이동로, 용봉이천길) | 공주시 | 우성면 | |
서공주 나들목 (방흥교차로) | 서공주 나들목 (방흥교차로) | 서천공주고속도로 | |||
우성교차로 | 우성교차로 | 국도 제32호선 (동대리길) | 국도 제32호선 중복 구간 | ||
(이름 없음) | 우성길 | ||||
(이름 없음) | 옥성길 | ||||
질마교차로 | 질마교차로 | 국도 제32호선 (금병로) | |||
(이름 없음) | 무성산로 | ||||
(이름 없음) | 월미동길 | 신관동 | |||
귀산육교 | 귀산육교 | 귀산길 | |||
목천교차로 | 목천교차로 | 국도 제23호선 (차령대로) | 우성면 | 국도 제23호선 중복 구간 | |
청룡교차로 | 청룡교차로 | 지방도 제627호선 (의당전의로) | 의당면 | ||
송선교차로 | 송선교차로 | 국도 제23호선 (차령대로), 장기로 | 월송동 | ||
(이름 없음) | 장척로 | ||||
서세종 나들목 | 서세종 나들목 | 당진영덕고속도로 | |||
하봉교차로 | 하봉교차로 | 장척로 | 세종특별자치시 | 장군면 | |
은용교차로 | 은용교차로 | 지방도 제691호선 (신학리길) | |||
봉안교차로 | 봉안교차로 | 장척로 | |||
(이름 없음) | 국도 제1호선 (세종로) | 종촌동 | 국도 제1호선 중복 구간 | ||
(이름 없음) | 미르내로 | 연기면 | |||
빗돌터널 | 빗돌터널 | 국도 제1호선 중복 구간, 약 310m | |||
(이름 없음) | 세종1로 | 국도 제1호선 중복 구간 | |||
모개고가차도 | 모개고가차도 | 국도 제43호선 (조치원세종로), 미르내로 | |||
연기삼거리 | 연기삼거리 | 수왕로 | |||
연기사거리 | 연기사거리 | 지방도 제627호선 (당산로) | |||
연기공단사거리 | 연기공단사거리 | 공단로 | |||
(이름 없음) | 봉암길 | 연서면 | |||
월하오거리 | 월하오거리 | 당산로 | |||
번암사거리 | 번암사거리 | 국도 제1호선 (세종로) | 조치원읍 | ||
죽림삼거리 | 죽림삼거리 | 충현로 | |||
상리사거리 | 상리사거리 | 조치원로, 혜만석로 | |||
조천교 | 조천교 |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경계 |
3. 2.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 한솔동 - 도담동 - 해밀동 - 연기면 - 연서면 - 조치원읍3. 3.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강내면, 석소동, 수의동, 후암동, 비하동, 강서동, 가경동, 복대동) - 서원구 (사창동, 사직동) - 상당구 (영동, 북문로2가, 수동) - 청원구 (우암동, 내덕동, 율량동, 주중동, 주성동, 내수읍, 북이면) - 증평군 (증평읍, 도안면) - 음성군 (원남면, 음성읍, 소이면) - 충주시 (주덕읍, 대소원면, 용두동, 용관동, 가주동, 풍동, 살미면) - 제천시 (한수면, 덕산면, 수산면) - 단양군 (단성면, 대강면)3. 4.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봉현면, 안정면, 상줄동, 장수면, 가흥동, 창진동, 고현동, 상망동) - 봉화군 봉화읍 - 영주시 이산면 - 봉화군 (봉화읍, 봉성면, 법전면, 춘양면, 소천면) - 울진군 (금강송면, 울진읍, 근남면)4. 노선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다.
4. 1. 충청남도·세종특별자치시
보령시 대천동에서 청라면까지는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며, 대천 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한다. 대천역과 보령종합버스터미널을 지나 신설사거리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0호선과 만나 화산 교차로까지 이어진다. 굿고개(화산고개)를 넘어 청양군으로 진입한다.[62]청양군 화성면에서 청양읍까지는 여주재터널(연장 1,350m)과 청양터널(연장 1,750m)을 포함한 구간을 지난다. 청양읍에서는 국도 제29호선과 일부 중복되며, 탄정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과 교차한다. 대치면을 지나 정산면에서는 국도 제39호선과 만나고, 칠갑산터널(연장 1,110m)을 통과한다. 목면에서는 송암사거리를 지나 공주시로 이어진다.
공주시 우성면에서는 서공주 나들목에서 서천공주고속도로와 연결되며, 우성 교차로와 질마 교차로에서 국도 제32호선과 중복된다. 신관동을 지나 우성면으로 다시 진입하여 목천 교차로에서 국도 제23호선과 만나고, 의당면 청룡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27호선과 교차한다. 월송동 송선 교차로에서 다시 국도 제23호선과 만나며, 서세종 나들목에서 당진영덕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는 하봉 교차로, 은용 교차로, 봉안 교차로를 거쳐 종촌동에서 국도 제1호선과 만난다. 아름동을 지나 해밀동에서 빗돌터널(연장 310m)을 통과하고, 연기면에서 국도 제43호선과 교차한다. 연서면을 지나 조치원읍에서는 국도 제1호선과 분기되어 죽림회전 교차로, 남리과선교, 상리사거리를 거쳐 조천교에 이른다.
4. 1. 1. 보령시
대천항에서 시작하여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된다. 이후 대천서중학교, 대천해수욕장시외버스정류장, 흑포삼거리를 거쳐 청룡초등학교 앞으로 이어진다. 해망산삼거리, 요암삼거리, 대천 나들목을 지나 대천역과 보령종합버스터미널이 위치한 시내로 진입한다. 궁촌사거리, 수청사거리, 주공사거리, 동대사거리를 지나 신설사거리에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77호선과 다시 만나 화산 교차로까지 중복된다.[62] 화산사거리에서 옥마로와 교차하고, 고인돌삼거리에서 대천로와 만난다. 굿고개(화산고개)를 넘어 청라면으로 진입한다.4. 1. 2. 청양군
보령시 청라면에서 스무재를 넘어 청양군 화성면으로 진입한다.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스무재 | 청양군 | 화성면 | |
진골 교차로 | 금계동길 | ||
(사천) | 사천골길 | ||
국원 교차로 | 무한로 |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화성1교 화성2교 화성3교 | |||
구재 교차로 | 구숫골길 | ||
매산 교차로 | 식물원길 | ||
매산교 | |||
여주재 교차로 | 대청로 | ||
신정 교차로 | 원통길 | ||
여주재터널 | 연장 1,350m | ||
청양읍 | |||
장승교 | |||
심곡 교차로 | 대청로 신대동길 | ||
장승 교차로 | 칠갑산로 |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송방1교 | |||
송방 교차로 (송방2교) | 국도 제29호선 (충절1로) 구봉로 |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 |
아촌교 | |||
벽천 교차로 (지천교) | 국도 제29호선 (충절로) 문화예술로 | ||
은천교 | |||
탄정 교차로 (탄정1교)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칠갑산로) | 대치면 | |
대치천교 | |||
주정 교차로 | 주전로 | ||
이화 교차로 | 청산로 | ||
이화4교 이화5교 | |||
형산 교차로 | 광산로 | ||
청양터널 | 연장 1,750m | ||
정산면 | |||
마치 교차로 | 마치길 | ||
원마치교 | |||
칠갑산터널 | 연장 1,110m | ||
대박1교 대박2교 | |||
정산 교차로 (정산교) | 국도 제39호선 (충의로) | ||
해남1교 역촌1교 역촌2교 백곡1교 | |||
백곡 교차로 (백곡교) | 백곡길 | ||
지곡교 | 목면 | ||
가야미 교차로 (가야미교) | 칠갑산로 가야미길 | ||
안심 교차로 (안심IC교) | 안심동길 | ||
본의천교 | |||
목면 교차로 | 무술길 | ||
송암사거리 | |||
송용교 |
4. 1. 3. 공주시
이름 [2] | 한글 이름 | 연결 | 위치 | 참고 |
---|---|---|---|---|
공수원사거리 | 공수원사거리 | 지방도 제96호선 (용봉이동로) (용봉이천길) | 공주시 우성면 | |
서공주 나들목 (방흥교차로) | 서공주 나들목 (방흥교차로) | 서천공주고속도로 | ||
우성교차로 | 우성교차로 | 국도 제32호선 (동대리길) | 국도 32호선 중복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우성길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옥성길 | ||
질마교차로 | 질마교차로 | 국도 제32호선 (금병로)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무성산로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월미동길 | 신관동 | |
귀산육교 | 귀산육교 | 귀산길 | ||
목천교차로 | 목천교차로 | 국도 23호선 (차령대로) | 우성면 | 국도 23호선 중복 |
청룡교차로 | 청룡교차로 | 지방도 제627호선 (의당전의로) | 의당면 | |
송선교차로 | 송선교차로 | 국도 23호선 (차령대로) 장기로 | 월송동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장척로 | ||
서세종 나들목 | 서세종 나들목 | 당진영덕고속도로 |
4. 2. 세종특별자치시
'''국도 제36호선'''은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오천항에서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수산 교차로를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세종특별자치시 구간은 조천교가 유일하다.
4. 3. 충청북도
경상북도 구간은 영주시, 봉화군, 울진군을 지난다.영주시 구간은 죽령에서 시작하며, 국도 제5호선과 중복된다. 희방삼거리, 희방 교차로, 창락 교차로를 거쳐 창락터널로 이어진다. 곰수골교, 곰수 교차로, 창락지하차도를 지나 백수 교차로(죽령로와 교차)에 이른다. 새터, 백동, 백리 교차로를 지나 풍기교에 도달한다. 봉현면에서는 두산육교, 오현2육교, 오현1육교를 지나 봉현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지방도 제931호선과 교차)로 이어진다. 봉현육교, 안정1교, 신전육교를 지나 안정면에 들어서면 신전 교차로(신재로, 장안로와 교차), 내줄교, 내줄 교차로, 가흥육교를 거쳐 가흥동으로 이어진다. 가흥 교차로(국도 제5호선, 경북대로, 영주로와 교차)와 나무고개 교차로(신재로와 교차)를 지나 서천대교를 건넌다. 고현 교차로(회헌로와 교차), 귀내1·2교, 가흥터널을 지나 상망동에 들어서면 영광 교차로(지방도 제935호선과 교차), 영광교, 상망교를 지나 상망 교차로(파인토피아로와 교차)에 이른다.
봉화군 봉화읍 구간은 문단교, 신암1교를 지나 신암 교차로(신암로와 교차)에서 시작된다. 신암2·3교, 이산교를 지나 이산면을 거쳐 다시 봉화읍으로 돌아와 유산교, 봉화 교차로(지방도 제915호선과 교차), 거촌 교차로, 거촌1·2교, 금봉 교차로(지방도 제918호선과 교차)를 지난다. 봉성면 구간은 창평터널, 다덕 교차로, 음지교, 다덕교를 지난다. 법전면 구간은 용동, 법전 교차로, 법전교, 법전역, 소지, 수청 교차로를 거친다. 춘양면에서는 춘양 교차로를 지나 다시 법전면으로 돌아와 옥천 교차로(국도 제3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교차)를 지난다. 어르말, 녹동 교차로, 법전1·2·3교, 노루재터널을 거쳐 소천면에 이르면 현동 교차로(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5호선과 교차)가 나온다. 현동1 교차로, 현동천교, 현동제1·2대교, 현동3, 매현 교차로, 분천터널, 어우천교, 분천교, 분천삼거리, 분천2 교차로, 먹골교, 자마터널, 외매교, 분천3 교차로, 꼬치비교, 꼬치비재터널을 지난다.
울진군 금강송면 구간은 광비천교에서 시작하여 오루숲 교차로(소천로와 교차), 광비1터널, 광비·내광비교, 광비2터널, 영천교, 옥방 교차로(불영계곡로와 교차), 옥방교, 답운재터널, 답운교, 답운 교차로, 쌍전 교차로(지방도 제917호선과 교차), 덕거리교, 광덕천교, 금강송1·2터널, 심미교, 금강송1·2교, 삼근 교차로(불영계곡로와 교차), 삼근1터널, 수평교, 삼근2·3터널, 하원1교, 불영계곡1터널, 하원2교, 불영계곡2터널을 지나 울진읍으로 들어선다.
울진읍 구간은 하원3교, 불영계곡3터널, 하원4교, 대흥1교, 불영 교차로, 대흥2교, 대흥터널, 대흥3~6교, 금산터널, 신림1·2교, 울진서부, 고성1·2교, 명도교, 온양 교차로를 거쳐 울진북부 교차로(국도 제7호선, 울진북로와 교차)에서 끝난다.
2018년 이전에는 영주시 나무고개 교차로(가흥삼거리)에서 서부삼거리, 영주제일고등학교, 영주여자중학교, 영주서부초등학교, 서부사거리, 서천교, 서천교사거리, 영주육교, 롯데시네마 영주점(구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영광중학교, 영주1동행정복지센터, 영주초등학교, 영주시의회, 영주시수도사업소, 상망동주민센터, (진흥제재소), 상망 교차로(동부지구대), 상망·단운·상망 교차로를 경유했다.
울진군에서는 삼근 교차로에서 금강송면사무소, 금강송휴게소, 산재, 불영사, 서하교, 하원리, 대흥리, 금산휴게소, 행곡리, 민물고기생태체험관, 수산, 울진남부 교차로를 경유하는 구간이 여전히 존재한다.
4. 3. 1. 청주시
이 문서에는 '국도 제36호선'의 '청주시' 구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4. 3. 2. 증평군
4. 3. 3. 음성군
주어진 자료에는 음성군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3. 4. 충주시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국도 제36호선의 충주시 구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4. 3. 5. 단양군
이전 출력물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단양군에 대한 정보가 없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확한 판단이며,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물과 동일하게 다음을 출력합니다:이 문서에는 국도 제36호선의 단양군 구간에 대한 정보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문서와 요약으로는 단양군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4. 4. 경상북도
경상북도 구간은 영주시, 봉화군, 울진군을 지난다.- 영주시 구간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 * 영주시 풍기읍 죽령 ~ 봉화군 춘양면 춘양 교차로
- 봉화군 구간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 * 봉화군 춘양면 춘양 교차로 ~ 울진군 금강송면 삼근 교차로
- 울진군 구간
- * 울진군 금강송면 삼근 교차로 ~ 울진읍 울진북부 교차로 : 서면 ~ 근남간 도로[64]
4. 4. 1. 영주시
- 영주시 풍기읍 죽령 ~ 가흥동 가흥 교차로 : 죽령로
- 영주시 가흥동 가흥 교차로 ~ 율평 교차로 : 경북대로
- 영주시 가흥동 율평 교차로 ~ 상망동 상망 교차로 : 삼봉로
- 영주시 상망동 상망 교차로 ~ 봉화군 춘양면 춘양 교차로 : 파인토피아로
4. 4. 2. 봉화군
경상북도 봉화군 구간은 다음과 같다.
경상북도한국어는 삭제했다.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문서
Intersections and interchanges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웹인용
대전지방국토관리청 보도자료
http://dcmo.mltm.go.[...]
2013-12-30
[4]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5]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375호
http://theme.archive[...]
1973-09-08
[6]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88호
http://theme.archive[...]
1975-08-08
[7]
법률
대통령령 제11899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6-05-13
[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7호
http://theme.archive[...]
1986-06-21
[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37호
http://theme.archive[...]
1986-09-29
[1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35호
http://theme.archive[...]
1987-11-09
[1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92-4호
http://theme.archive[...]
1992-01-17
[1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118호
http://theme.archive[...]
1994-08-13
[13]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550호
http://theme.archive[...]
1999-01-08
[1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23호
http://theme.archive[...]
2000-02-08
[1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217호
http://theme.archive[...]
2000-09-22
[1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290호
http://theme.archive[...]
2000-12-30
[1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07호
http://gwanbo.mois.g[...]
2001-09-29
[1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호
http://gwanbo.mois.g[...]
2002-01-10
[2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2호
http://gwanbo.mois.g[...]
2002-01-10
[2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14호
http://cblib.cb21.ne[...]
2004-01-16
[2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58호
2004-11-30
[2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78호
2004-12-30
[2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38호
http://gwanbo.mois.g[...]
2005-09-06
[2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01호, 제2005-202호
http://www.gb.go.kr/[...]
2005-12-05
[2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11호, 제2005-212호
http://www.gb.go.kr/[...]
2005-12-15
[2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258호
http://gwanbo.mois.g[...]
2007-12-17
[2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259호
http://gwanbo.mois.g[...]
2007-12-17
[2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170호
2007-12-18
[3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55호
http://gwanbo.mois.g[...]
2008-04-03
[31]
간행물
영주시공고 제2010-249호
http://gwanbo.mois.g[...]
2010-05-04
[3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244호
http://gwanbo.mois.g[...]
2011-12-30
[3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245호
http://gwanbo.mois.g[...]
2011-12-30
[3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244호
http://gwanbo.mois.g[...]
2013-12-30
[3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253호
http://gwanbo.mois.g[...]
2016-01-07
[3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254호
http://gwanbo.mois.g[...]
2016-01-07
[3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4호
http://gwanbo.mois.g[...]
2016-02-11
[3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5호
http://gwanbo.mois.g[...]
2016-02-11
[3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2016-165호
http://gwanbo.mois.g[...]
2016-05-03
[4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74호
http://gwanbo.mois.g[...]
2016-05-04
[4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75호
http://gwanbo.mois.g[...]
2016-05-04
[4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72호
http://gwanbo.mois.g[...]
2016-05-04
[4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73호
http://gwanbo.mois.g[...]
2016-05-04
[4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29호
http://gwanbo.mois.g[...]
2016-07-20
[4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30호
http://gwanbo.mois.g[...]
2016-07-20
[4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00호
http://gwanbo.mois.g[...]
2016-09-08
[47]
간행물
청주시공고 제2016-2034호
http://www.cheongju.[...]
2016-08-31
[4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26호
http://gwanbo.mois.g[...]
2016-12-19
[4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27호
http://gwanbo.mois.g[...]
2016-12-19
[5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98호
http://gwanbo.mois.g[...]
2017-01-02
[5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99호
http://gwanbo.mois.g[...]
2017-01-02
[5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37호
http://gwanbo.mois.g[...]
2017-04-13
[5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57호
http://gwanbo.mois.g[...]
2017-11-30
[5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76호
http://gwanbo.mois.g[...]
2018-09-17
[5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77호
http://gwanbo.mois.g[...]
2018-09-17
[5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04호
http://gwanbo.mois.g[...]
2018-12-27
[5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109호
http://gwanbo.mois.g[...]
2019-08-20
[5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552호
http://gwanbo.mois.g[...]
2019-09-25
[5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191호
http://gwanbo.mois.g[...]
2019-12-30
[6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87호
http://gwanbo.mois.g[...]
2020-03-18
[61]
웹인용
충청권 내륙고속화 등 국도 3개 구간, 24일부터 순차 개통
https://www.molit.go[...]
2024-07-25
[62]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63]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64]
문서
공사 당시의 공식 명칭. 그러나 옛 국도 제36호선 서면 ~ 근남 구간의 대체 도로라는 의미일 뿐, 이 도로는 근남면을 지나지 않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